메뉴 건너띄기
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

안동상공회의소

대한상의보도자료

대한상의보도자료 상세보기
제목 설 명절 소비인식 조사
담당부서 유통물류정책팀 작성일 2025.01.23
첨부파일

설 연휴 얇아진 지갑, ‘가성비’ 중심의 실속형 소비 확산

 

- 지난해보다 ‘지출 줄이겠다’(32%)가 ‘지출 늘리겠다’(22%)의 1.5배 ... 고물가·경기불황 여파
- 설에 받고 싶은 선물 ‘현금·상품권’ vs 주고 싶은 선물 ‘과일·농산물’로 온도 차 보여
- 설 선물 구입예산 ‘20~29만원’(25%) 가장 많아 ... 선물세트 한 개당 예산 ‘3~5만원’(52%) 소비- 임시공휴일 지정...소비자 10명 중 6명(57%) ‘적절’ 응답... 상의 “내수활성화 위해 정부지원책 필요”

국내 정치불안, 경기불황, 고물가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지갑 사정이 더욱 얇아진 가운데, 올해 설 명절은 가성비 위주의 실용적인 소비를 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.

대한상공회의소(회장 최태원)가 최근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‘설 명절 소비인식 조사’에 따르면, 응답자의 31.6%가 ‘작년보다 지출을 줄일 계획’이라고 답했으며, ‘지출을 늘릴 계획’이라는 답변은 22.0%에 그쳤다. <‘변동 없음’ 46.4%>

지출을 줄이는 이유로는 ‘지속되는 고물가’(58.9%)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,‘경기 불황 지속’(36.7%), ‘가계부채 증가’(31.0%)가 그 뒤를 이었다. <소득감소 29.1%, 세금 등 부담 증가 26.6%, 고용사정 악화 10.1% 順, 복수응답>



특히 소비자들은 설 선물 구입의 기준으로 ‘가성비’(68.2%)를 가장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꼽았다.

이에 반해 ‘받는사람 취향’ (33.1%), ‘건강관련’(31.1%) ‘고급스러움(22.0%)’,‘디자인(9.5%)’등 주관적인 요소는 비교적 비중이 낮게 나타나, 올 설 명절에는 가격 경쟁력을 갖춘 실속 있는 상품이 인기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. <복수응답>

설에 받고 싶은 선물 ‘현금·상품권’ vs 주고 싶은 선물 ‘과일·농산물’로 온도 차 보여

한편, 올 설 연휴에는 61.0%가 지인이나 친척에게 선물을 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가운데,<계획 없음 39.0%> 설 명절에 가장 받고 싶은 선물로‘현금·상품권’(48.2%)을 가장 많이 꼽았다. 뒤이어 ‘정육’(32.8%)과 ‘과일·농산물’(31.5%),‘수산물’(12.5%),‘건강식품(11.8%)’,‘주류'(8.9%) 등이 받고 싶은 선물로 조사됐다. < 가공식품 8.5%, 디저트 7.9%, 생활용품 7.2%, 미용용품 3.3% 順, 복수응답>

반면,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선물할 것으로 답한 선물 1위는 ‘과일·농산물’(48.5%)이 꼽혔다. 이어 ‘정육’(29.2%)과 ‘건강식품’(21.6%)이 뒤를 이었으며, 가장 많이 받고 싶은 선물로 꼽혔던‘현금·상품권’은 19.0%에 그쳤다. < 가공식품 16.1%, 디저트 12.8%, 수산물 12.5%, 주류 10.8%, 생활용품 9.5%, 미용용품 4.6% 順, 복수응답>

설 선물 구입예산 ‘20~29만원’(25%) 가장 많아 ... 선물세트 한 개당 예산 ‘3~5만원’(52%) 소비

선물 구입을 위해 사용하는 예산으로는 ‘20~29만원’(24.9%)을 가장 많이 꼽았다. 이어서 ‘10만원 이하’(23.0%), ‘11~19만원’(19.7%)을 꼽았고, 30만원 이상은 32.5%였다.

현재 계획 중인 선물의 가격대는 개당‘3~5만원’(52.1%)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, ‘6~9만원’ (21.3%), ‘10만원대’(13.4%)가 뒤를 이었다. 상대적으로 고가인 ‘20만원 이상’은 3.9%로 낮은 비중을 보였다.

설 선물의 개수는 ‘3~4개’(45.9%)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. ‘1~2개’는 36.7%, ‘5~7개’는 13.8% 순이었다. < ‘8~10개’ 2.0%, ‘11개 이상’ 1.6% 順 >




설 선물 구입 장소로는 ‘대형마트’(65.2%)를 가장 선호했으며, 이 외에도‘온라인 쇼핑몰’(44.3%) ‘백화점’(17.7%)에서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. < 전통시장 14.1%, 슈퍼마켓 8.5%, 다이소, 올리브영 등 전문점 4.3%, 홈쇼핑 2%, 기타 0.7% 順, 복수응답 >

한편,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서는 적절하다는 의견이 많았다. 정부의 임시공휴일 지정에 대해 소비자 10명 중 6명(56.8%)은 ‘적절하다’고 답했으며, ‘적절하지 않다’는 의견은 16.4%에 그쳤다. < ‘보통이다’ 26.8%>

적절하다고 응답한 주요 이유로는‘휴식을 통한 삶의 질 개선’(62.7%)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, ‘소비진작을 통한 내수경제 활성화 기여’(33.1%), ‘기업 및 사회 전반의 생산성 향상’(4.2%)도 이유로 꼽았다.

소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 대책으로는‘물가·환율 안정’(56.6%),‘경제 불안심리 안정’(26.8%) 등 경제의 불안정성을 조기에 해소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과제를 많이 꼽았다. 

< 일자리 창출 7.0% , 세금부담 완화 3.8%, 부동산 시장 안정화 2.2%, 기타 2.0%, 금리인하 1.6% 順 >

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"불안한 정치상황, 경기불황, 고물가 등으로 소비심리가 주춤한 상황에서 이번 설 연휴가 내수 활성화의 디딤돌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”고 지적했다. 아울러, “대한상의도 대기업부터 소상공인까지 내수 활성화의 온기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, 내수 활력 정책 포럼 개최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경제계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”이라고 밝혔다.

안동상공회의소

(우)36709 경상북도 안동시 축제장길 240 (운흥동)

Copyright (c) 2017 andongcci, All Right Reserved.